주요사업
평화소식
후 원
활동소식
평화산책
자료실
지역본부
재단소개
  사업의방향
  교육과훈련
  평화의삶실천
  남북의교류와협력
  국내외네트웍구성
  평화에너지봉사단
  평화소식
  주요 南北합의자료
  비핵관련 합의자료
  후원안내
  재정보고&후원소식
  활동 소식
  활동소식
  이달의일정
  남이랑북이랑
  재단 이모저모
  김정희(나의북한방문
  오덕렬(평화이야기)
  김동진(평화이야기)
  변준희(평화이야기)
  박성용 (평화산책)
  이재봉 (평화산책)
  사진자료
  동영상
  평화자료
  관련홈페이지
  보도자료
  경인본부
  충남본부
  인사말
  창립선언문
  조직도
  발기인명단
  로고설명
  찾아오시는길
이재봉 (평화산책)
snpeace
HOME | 평화산책 | 이재봉 (평화산책)

   
  (37) 갈퉁교수에게 '문제 학생'으로 찍히다.
  글쓴이 :      날짜 : 10-10-05 12:33     조회 : 4417    

 
하와이대학에서 첫 학기를 무사히 보내고 1992년 1월 두 번째 학기를 맞아 우선 요한 갈퉁 (Johan Galtung) 교수의 ‘갈등 해결’이란 수업을 신청했습니다. 과목 이름이나 수업 주제 등엔 관심이나 흥미가 거의 없었지만 담당 교수의 명성 때문이었습니다.

첫 학기에 ‘비폭력 정치학’ 수업을 생소한 과목 이름 때문에 신청했다면, ‘갈등 해결’ 수업은 유명한 교수 이름 때문에 듣고 싶었던 것이지요.

제가 갈퉁 교수의 이름을 처음 접한 것은 1981년 대학 3학년 때 ‘제 3세계와 종속이론’에 관한 책을 통해서였습니다. 서울의 대학가에서 데모 없는 날을 손꼽을 정도였던 1980년대 초 정치외교학과 학생회장을 맡고 있으면서도 데모에 앞장서기는커녕 맨 뒷줄에라도 한 번 서보지 못한 부끄러운 과거를 지니고 있다고 고백한 적이 있습니다만, 이른바 운동권 친구들을 통해 ‘제 3세계와 종속이론’에 관해 귀동냥 정도는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 호기심을 달랠 겸 그에 관해 정치외교학과 학술제를 준비하는데,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던 법정대학장이 ‘제 3세계’에 관한 논문발표나 토론은 좋지만 ‘종속이론’에 관해서는 허락할 수 없다더군요.

간단히 말해 제 1세계는 미국과 서유럽을 중심으로 한 선진 자본주의 진영을, 제 2세계는 소련과 동유럽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진영을, 제 3세계는 정치적으로 양 진영에 속하지 않으며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나라들을 가리켰습니다. 그리고 종속이론은 제 3세계 또는 개발도상국들이 제 1세계 또는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에 종속되어 있는 한 진정한 발전을 이룰 수 없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따라서 종속이론은 미국에 대한 비판을 이끌 수 있기 때문에 대학에서조차 다루지 못하게 했던 것인데, 1980년대 우리나라의 서글픈 현실이었지요.

그러한 종속이론을 조금 공부하며 어렴풋이 이름을 알게 된 갈퉁 교수를 10여년 뒤 하와이대학에서 만날 수 있게 된 것이었습니다. 그는 워낙 유명한 탓인지 유럽과 미국의 3-4개 대학에 동시에 적을 두고 봄 학기에만 하와이에서 강의를 했는데, 그 때문에 수강생이 20여명이나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 무렵 하와이대학 정치학과엔 교수가 30명이 넘었고 대학원 수업은 대개 5-6명의 수강생들로 이루어졌는데 말입니다.

갈퉁 교수의 강의를 처음 들으면서 엄청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노르웨이 출신으로 10여개 언어를 구사한다는 그의 영어를 거의 절반 밖에 알아듣지 못했거든요. 이미 미국 생활을 6-7년 한 터였으니 아직도 귀가 뻥 뚫리지 않는 자신이 한탄스럽기도 하고 그의 까다로운 유럽식 영어 발음이 원망스럽기도 했습니다.

그는 숙제를 내주며 다음 주 수업 전날까지 자신의 연구실로 제출하라고 했는데, 일주일 뒤 수업 당일 숙제를 냈더니 늦었다고 받지 않더군요.

그리고 지난 주 수업 시간에 왜 필기를 하지 않았느냐고 묻기에, 나는 무슨 수업에서든 필기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더니, ‘뭐 이런 놈이 있느냐’는 식으로 째려보다가 아무래도 자기 강의를 따라오지 못할 것 같다며 수강 신청을 취소하라고 명령하듯 말했습니다. 학기 초부터 ‘문제 학생’으로 찍힌 것이었지요.

* 이 글은 [이재봉의 평화세상] (blog.daum.net/pbpm21)에도 연재되고 있습니다.


   

03735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11길 20 CI빌딩 501호
TEL : 02-6261-0615 FAX : 02-6261-0611 Copyright 2007 KOREAPEACE
통일부 허가법인 제 275호 기획재정부 제 2007-256호 공익성 기부금 대상단체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