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대북 인도지원단체들의 연합체인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회장 박종철, 이하 북민협)의 방북 신청을 불허한다는 방침이지만 북민협은 긴급 회의를 소집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8일 오전 통일부 관계자는 “아직 결정해서 통보한 것은 아니고 오늘 중으로 입장을 정리해서 통보할 계획”이라며 “5.24조치가 유지되고 있고, 전반적인 남북관계 상황을 볼때 평양을 방문해 대북사업을 협의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불허 입장을 밝혔다.
이 당국자는 “5.24조치 이후 제한적으로만 방북을 허용해 왔지만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에는 일체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박현석 북민협 운영위원장은 이날 오전 <통일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언론을 통해 확인했다. 통일부에서 공식통보를 받지 않은 상태"라며 "정부에서 풀지 못하는 경색국면을 민간단체가 물꼬를 트려고 하는 것인데 자꾸 무산되는 것은 안타깝고 유감스럽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또한 "오늘 오후 긴급 정책위원회를 소집했다. 대책을 논의할 것"이라며 "우리가 가려는 목적 중 하나가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게 보낸 물자를 확인하는 모니터링이다. 이것은 우리의 의무인데 정치적인 목적과 정부의 원칙에 의해서 민간단체가 해온 일을 지연시키고 배제시키는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북민협은 통일부의 불허방침에도 불구하고 중국 심양 북한영사관으로부터 사증(비자)을 발급받아 통일부에 방북승인을 재차 요구하는 공문을 제출할 예정이며 오는 15일 긴급총회를 통해 공식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다.
북민협은 지난달 북측 민화협의 초청에 따라 대북지원사업재개 논의를 위해 박종철 회장 등 6명의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평양방북 신청서를 지난 20일 제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