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사업
평화소식
후 원
활동소식
평화산책
자료실
지역본부
재단소개
  사업의방향
  교육과훈련
  평화의삶실천
  남북의교류와협력
  국내외네트웍구성
  평화에너지봉사단
  평화소식
  주요 南北합의자료
  비핵관련 합의자료
  후원안내
  재정보고&후원소식
  활동 소식
  활동소식
  이달의일정
  남이랑북이랑
  재단 이모저모
  김정희(나의북한방문
  오덕렬(평화이야기)
  김동진(평화이야기)
  변준희(평화이야기)
  박성용 (평화산책)
  이재봉 (평화산책)
  사진자료
  동영상
  평화자료
  관련홈페이지
  보도자료
  경인본부
  충남본부
  인사말
  창립선언문
  조직도
  발기인명단
  로고설명
  찾아오시는길
평화소식
NORTH KOREA
HOME | 평화소식 | 평화소식
[통일뉴스]"길림-나진 경제벨트 실현 가능성 높다"
글쓴이 :      날짜 : 10-03-12 13:19     조회 : 1792    
링크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9127 (568)
   
▲ 11일 오후 서울 종로 한국기독교회관에서 남북평화재단이 주최한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강연회가 열렸다. [사진-통일뉴스 고성진 기자]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이 11일 최근 북한 나진.선봉 개방과 관련 "중국이 길림(지린)성에서 나진.선봉 지역을 연결하는 경제벨트를 만들겠다는 것"이라며 "이는 현실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 한국기독교회관에서 남북평화재단이 주최한 강연회에서 북.중 경제협력에 주목,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작년 10월에 북한을 방문해서 여러 협정을 맺고 돌아온 이후 길림성의 주요 인사들이 평양을 방문했다고 한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북경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연변에 갔을 때 이와 같은 소식을 들었다며, 북.중 경협의 진척과 성공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길림성은 2천5백만 명이 살고 있어 북한 인구보다 많은데, 외부세계와 직접 유통할 수 없는 통로가 없어서 발전이 안 되고 있다. 일본이나 미국으로 물건을 수출하려면 다롄 등으로 나와서 배를 통해야 하고, 러시아 쪽으로는 블라디보스크로 가야 된다"면서 "그러나 직접 통하면 불과 40-50Km 떨어진 곳에 북한의 나진.선봉이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내륙 경제특구 도시의 활로를 열고 동북아 물류 거점을 위해 바닷길을 열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북한 나진항 진출 등에 힘써 왔다.

그는 "중국이 과거 길림성 훈춘(琿春)이라는 곳에 경제특구를 만들었다. 그때 그들의 구상은 러시아와 북한과의 접경지역인 두만강 유역의 하구를 준설해 항구를 건설하겠다는 것인데, 러시아와 북한이 그것을 들어줄 수 있겠나"라며 "그래서 훈춘 경제특구가 실패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장관은 "길림성 투먼(圖們)에서 훈춘 쪽으로 이어진 철도가 있다. 그 구상을 이번에는 현실적으로 나진.선봉까지 포함한 경제권을 만들자는 것"이라며 이같은 구상이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북.중은 길림성 투먼-청진항 구간 철도 보수에 합의했다.

이어 "중국이 북한에 대한 경제협력 정책 때문에 이미 (국제 대북)제재 실효성이 무력화된 상태다. 국제사회에서 대북 제재가 잘 되고 북한이 굉장히 고통받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북한은 이미 한 쪽 문이 트여 있다"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로 고통을 받지만, 무릎을 꿇지는 않을 것"이라고 대북 제재가 더 이상 실효성이 없다고 설명했다.
"평화협정 논의 주도 당사자는 한국 정부"

   
▲ '한반도 평화협정과 남북관계' 주제로 열린 이날 강연회에는 70여 명의 회원들이 참석했다. [사진-통일뉴스 고성진 기자]
한편, 이 전 장관은 한반도 평화협정 논의와 관련해서도 "명실상부하게 (한반도) 평화협정 논의가 가능한 여건이 조성된 현 단계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고 주도해 나가야 할 당사자는 한국 정부"라며 정부에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그는 "평화체제 논의에 대해 남북한을 비롯해 미국과 역내 국가들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국가와 민족의 삶과 직결되어 있는 한국만큼 절실하지는 않다"며 평화협정의 중요성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 문제(평화협정 논의)와 관련해서 한국 정부가 무기력 상태에 빠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며 "한국 정부가 남북관계의 악화로 인해서 남북 간에 이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없는 상태이며, 6자회담에서도 북한과 미국을 동시에 설득할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여 이 문제를 주도했던 과거 정부와 달리 지금은 역부족인 상태에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이 전 장관은 "참으로 오랜만에 우리의 노력이 더해져서 찾아온 이 절호의 기회를 무시해서도 지체시켜서도 안 된다"며 "이 기회를 포착하고 국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평화협정 논의를 주도할 면밀한 설계도를 만들고, 추진 동력을 되찾기 위해서 남북관계 복원을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203 [통일뉴스]밀가루 300톤, 8개월 만에 북녘 가다 2011-07-29 1700
202 교회협, 중국 통해 북한에 밀가루 지원 2011-06-16 1845
201 종교인 658명, 정부에 대북 식량지원 촉구 2011-04-13 1802
200 통일부 “대북 식량지원 검토하고 있지 않다” 2011-03-23 1791
199 민간차원 대북지원 내달 허용 2011-03-23 1570
198 통일뉴스)북민협 대북지원 논의 위해 2월 평양 방북신청 2011-02-08 1646
197  통일뉴스)통일부 북민협 방북신청 불허 2011-02-08 1761
196 [통일뉴스]NCCK 김영주 총무 취임, "남북간 평화 통일 최선 다해야" 2010-12-15 1846
195 "후손들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는 통일" ,통일을준비하는사람들 창립총회 열고 본격적 … 2010-10-07 1930
194 통일을 준비하는 사람들 창립준비, 평범한 시민들이 참여하는 통일실천기구 2010-10-07 2225
193 평양산원, 영유아 먹일 우유 북 도착 2010-10-07 1780
192 [크리스챤 투데이]남북평화재단, ‘통일을 준비하는 사람들’ 창립 2010-10-07 1817
191 [경기일보]인천시, 대북지원물품 인천항 출항 ,시-남북평화재단 1억5천만원가량 지원 … 2010-10-07 1908
190 [중앙일보]평양산원 영유아 · 임산부 지원 2010-10-07 1714
189 [아시아뉴스통신]인천시 대북지원사업 18일 1차 출항 2010-10-07 1547
188 [매일경제]북한 영유아 먹을 분유 인천항서 선적 2010-10-07 1595
187 [YTN] 북한 영유아·임산부 위한 우유·분유 지원 2010-10-07 1993
186 [중부일보] 인천시, 대북지원사업 물품 선적식 개최 2010-10-07 1568
185 [웰빙뉴스] 평화통일을 위한 밀알이 되기를 기원한다 2010-10-06 1643
184 [고양신문] 고양을 평화와 통일의 거점으로 만든다 2010-10-06 2077
183 [노컷뉴스] 한반도 평화 통일 위한 '고양평화누리' 창 2010-10-06 1688
182 [한겨레신문] 고양에서 부는 통일운동의 바람 2010-10-06 1727
181 [통일뉴스]하나은행, '북한 영유아 우유보내기' 협약 2010-07-15 1846
180 [경향신문]한국 민주화 운동의 거목 박형규 목사의 ‘통일·평화’ 2010-05-07 1906
179 [한국일보]실천하는 신앙인 박형규 목사의 삶 2010-05-07 1737
178 [서울신문]박형규목사, 엄혹했던 시절을 증언하다 2010-05-07 1720
177 [노컷뉴스]민주화 역사의 산 증인 박형규 목사 회고록 출간 2010-05-07 1773
176 [통일뉴스]"길림-나진 경제벨트 실현 가능성 높다" 2010-03-12 1793
175 [쿠키뉴스]국민일보“시민 참여 없는 통일운동 반성하고 좌우 함께 하는 국민운동 필… 2010-02-26 1806
174 [통일뉴스]"민간차원"북녘 어린이 우유 지원...3번째 출항식 2010-02-19 2034
   1  2  3  4  5  6  7  8  9  10    
03735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 11길 20 CI빌딩 501호
TEL : 02-6261-0615 FAX : 02-6261-0611 Copyright 2007 KOREAPEACE
통일부 허가법인 제 275호 기획재정부 제 2007-256호 공익성 기부금 대상단체
관련사이트